재산세 납부기간 재산세 납부일 납부 방법 절세 방법 가산세 총정리

재산세 납부일이 다가오면 헷갈리는 일정과 납부 방법, 감면 혜택까지 한 번에 정리하고 싶으셨죠?
이 글에서는 2025년 재산세 납부일과 기간, 납부 방법, 감면 제도를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놓치면 가산세가 붙는 중요한 재산세 일정,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재산세는 누가 언제 납부해야 할까?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현재 부동산을 소유한 사람에게 부과됩니다.
즉, 6월 1일에 주택·건물·토지·선박 등을 소유하고 있다면 해당 연도 재산세 납부 대상자가 되는 것입니다.
부동산을 사고팔았다면 잔금일과 소유권 이전일이 기준이 되므로, 계약 시점과 세금 부담 주체를 미리 확인해야 분쟁을 피할 수 있습니다.
2025 재산세 납부일과 납부 기간은 언제인가요?
1차: 7월 16일 ~ 7월 31일
- 납부 대상: 주택분 1/2, 건축물, 선박, 항공기
- 특이사항: 주택분 세액 20만원 이하는 7월에 전액 부과
2차: 9월 16일 ~ 9월 30일
- 납부 대상: 주택분 나머지 1/2, 토지분 전액
정리하면 주택 외 건물은 7월, 토지는 9월, 주택은 7월과 9월로 나눠 납부합니다.
재산세는 어떻게 납부하나요? (모바일 포함)
1. 온라인/모바일 납부
- 위택스 (wetax.go.kr): 전국 지방세 납부 통합 시스템
- 서울시 ETAX / STAX 앱: 서울 지역 납세자 전용
- 간편결제: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페이코 등 지원
- ARS 납부: 전화번호 1599-3900 등으로 카드/계좌 납부
오프라인 납부
- 은행 창구, ATM, 편의점(CU, GS25 등)
- CD/ATM에서 카드/계좌 납부 가능
- 전용계좌로 인터넷뱅킹 납부
자동이체 신청
위택스 또는 은행 창구, 구청 방문으로 신청 가능. 전자고지+자동이체 신청 시 세액 공제 혜택 제공됩니다.
2025 재산세 납부 시기와 대상 정리표
7월 16일 ~ 7월 31일 | 주택 1/2, 건축물, 선박, 항공기 | 주택분 20만 원 이하는 전액 부과 |
9월 16일 ~ 9월 30일 | 주택 나머지 1/2, 토지 | - |
재산세를 줄이는 감면 혜택과 비과세 기준
✅ 비과세 대상 재산
- 국가·지자체 소유 재산
- 1년 미만 임시 건축물
- 공공용/공익 목적 재산(도로, 묘지 등)
💡 감면 제도 요약
- 1세대 1주택자: 공시가 9억 이하 세율 감면
- 고령자: 최대 80% 세액 공제
- 창업기업: 3년 100%, 이후 2년 50% 감면
- 착한 임대인 감면: 임대료 인하 시 재산세 감면
※ 감면 조건 위반 시 추징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세요.
고액 재산세는 분할납부도 가능할까?
네, 가능합니다. 본세가 250만원 초과인 경우 신청을 통해 최대 2회 분할 납부할 수 있습니다.
- 250만 초과~500만 이하: 250만 1차 납부, 잔액 2차
- 500만 초과: 절반씩 나눠 1·2차로 납부
신청은 위택스(회원만 가능) 또는 관할 자치단체 세무과 방문으로 가능하며, 납기 후 2개월 이내 납부해야 합니다.
재산세 납부 지연 시 가산세 얼마나 부과될까?
- 즉시 가산세: 미납 세액의 3%
- 중가산금: 매월 0.75% 추가 (최대 60개월)
예: 본세 100만 원 체납 → 1년 후 약 112만원 이상으로 증가
가산세는 누적되므로 반드시 납기일 이전 납부가 중요합니다.
재산세 과오납 환급과 고지 오류 정정 방법
💸 과오납 환급
위택스 → ‘환급 신청’ 메뉴 또는 ARS(142-211) 통해 신청. 3~5일 내 입금됨
📌 고지서 오류 정정
지자체 세무과에 문의하여 이의신청서 제출 및 정보 정정 가능
※ 환급 청구는 납부일로부터 5년 이내에만 가능하므로, 확인 즉시 신청해야 합니다.
2025 재산세를 현명하게 관리하는 5가지 방법
- 6월 1일 기준일 전략 활용: 부동산 계약 시 소유권 이전일 체크
- 전자납부 + 자동이체 신청: 납부 편리 + 세액 공제 혜택
- 감면 대상 확인: 1주택자, 고령자, 창업기업 등 대상 여부 확인
- 분할납부 활용: 고액 납부자는 유동성 확보
- 가산세 방지: 납기일 1~2일 전 사전 납부 추천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3년안에 1억 모으기 정기적금 전략 세우기 총정 (1) | 2025.07.19 |
---|---|
소상공인 지원금 부담경감 크레딧 신청방법 및 사용처 총정리 (0) | 2025.07.18 |
건강보험 환급금, 내 환급금 조회하고 돌려받기 신청 방법 총정리 (1) | 2025.07.16 |
2025년 근로기준법 완전 해부: 유급휴가와 연차수당 계산법까지 한눈에 (1) | 2025.05.18 |
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 전화, 자격오건, 소득재산 기준, 지급일 총정리 (3) | 2025.05.17 |